2025-03-07
bear blog에서 SEO를 위한 기본 설정을 제공하지만, 조금 더 검색에 잘 걸리게 하기 위해 어떤 설정이 필요할까? 여기 저기에서 내 블로그 링크로 올 수 있게 연결하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그것은 또 네트워크의 한계가 있을테고. 최초의 진입은 순수 검색 유입이 많아져야 하는 것 아닐까? 뉴그라운드, 작은배(창작하는아침), BEAR BLOG에서 진입하는 게 전부다.
이 고민을 하게 된 건, 나의 충청남도 서천 자랑글이 더 많은 사람에게 읽혔으면 하는 마음에서 였다. 서천을 검색했더니, '오지중의 오지에 여행을 다녀왔다'고 하는 브런치 글이 상위 노출되고 있어서 짜증나서 였고... (물론 그 분은 서천이 좋다고 하셨지만, 첫마디부터 조금 기분이 안좋아졌다;; 서천이 무슨 오지임.. 이렇게 교통 편한 곳이 없는데..) 저 브런치 글보다 내가 쓴 자랑글이 더 많이 노출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지?
Bear blog docs > SEO
우선 공식 가이드를 읽어봤다. 요약하면 이런 내용이었다.
- 링크 : https://docs.bearblog.dev/seo/
기술적 SEO (이미 Bear에서 자동 제공)
- 모든 필요한 메타 태그, 소셜 태그, 오픈그래프 콘텐츠 자동 생성
- robots.txt 파일과 sitemap.xml 파일 자동 생성 및 업데이트
- 매우 빠른 페이지 로딩 속도 (페이지당 2-5kb 정도의 콘텐츠)
-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없음 (빠른 로딩)
최적화를 위해 할 일
- 좋은 콘텐츠 작성하기 - 현대 검색 알고리즘은 키워드 스터핑보다 양질의 콘텐츠에 더 가치를 둡니다
- 메타 설명(meta_description) 수동 설정 - 자동으로 첫 160자가 설정되지만, 페이지 헤더에서 직접 설정하면 검색엔진 결과와 메시징 앱 미리보기에 더 효과적
피해야 할 사항
- 백링크 스터핑 - 낮은 품질의 백링크를 대량으로 생성하는 것은 스팸으로 간주됨
- 키워드 스터핑 - 과도한 키워드 삽입은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음
결론
- 양질의 콘텐츠 작성하기
- 좋은 메타 설명(meta_description) 작성하기
- 스팸성 SEO 기법 사용하지 않기
Bear의 기술적 SEO는 이미 높은 수준이므로, 콘텐츠 품질과 메타 설명에 집중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이 될 것이라는 말. 사람들이 공유하고 싶은 가치 있는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현대 SEO의 핵심이라고 하네.
그것은.. 네 알겠구요. 그러면 내가 조금 더 할 수 있는 일은 없을까? 우선 메타 디스크립션을 수동으로 설정해두지 않은 글이 더 많아서, 몇 개 글을 설정했다. 어떻게 메타 디스크립션을 최적화하는 것이 좋은지 ai 템플릿 만들어가면 좋겠다는 생각을 함.
국내 검색 엔진(네이버, 다음)과 구글에 사이트맵 제출하기
다음으로는 국내 검색 엔진과 구글의 서치 콘솔을 활용해보자. 였다. 베어블로그에서도 기본적인 Analytics를 제공하긴 하지만, 좀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기도 하고 SEO 공부도 해보고 싶어서 찾아봤다.
1.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맵 제출하기
-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https://searchadvisor.naver.com/)에 접속합니다.
- 네이버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 우측 상단의 [웹마스터 도구] 버튼을 클릭합니다.
- 블로그 URL을 입력하고 사이트 소유권을 인증합니다 (HTML 파일 업로드, 메타 태그, DNS 레코드 등의 방법 중 선택).
- 소유권 확인 후, 해당 URL을 클릭하여, 좌측 메뉴에서 "요청" → "사이트맵 제출"로 이동합니다.
- 사이트맵 URL(일반적으로 yourdomain.com/sitemap.xml)을 입력하고 제출합니다.
2. 다음(카카오) 검색 등록하기
- 다음 검색등록(https://register.search.daum.net/)에 접속합니다.
- [신규 등록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블로그 등록을 선택합니다.
- 블로그 URL에 'https://'를 포함한 전체 URL을 입력합니다.
-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합니다.
- 등록자 정보 이메일을 입력합니다.
- 등록 심사 상태로 넘어갑니다. (등록 완료 후 별도 처리 결과는 알려주지 않습니다.)
3. 구글 서치 콘솔 등록하기
- 구글 서치 콘솔(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welcome)에 접속합니다.
-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 속성 유형에서 URL 접두어 옵션을 선택하여 블로그 URL을 입력합니다.
- 소유권을 확인합니다 (HTML 파일, HTML 태그, Google Analytics, Google 태그 관리자 등).
- 확인 후, 좌측 메뉴에서 "색인 생성" → "사이트맵"으로 이동합니다.
- 사이트맵 URL을 입력하고 제출합니다.
이제 어떻게 하지?
일주일 정도 뒤에 네이버,다음,구글에서 모두 검색이 잘 되는지 한번 살펴봐야지. 네이버와 다음은 간단한 서치 콘솔을 운영하고 있어서 검색 최적화를 테스트해보는 데에도 꽤 도움이 될 것 같다. 종종 들어가서 보고, 필요하면 검색 최적화 공부도 해봐야지. 나만의 도메인이 있다는 건 이런 재미구나! (이제야 느껴본..)